
모바일 주민등록증이란
개인 휴대전화에 저장하여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입니다.
요즘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뭐든 다 할 수 있는 세상이죠.
신용카드 대신 스마트폰으로 결제도 되고, 네이버 디지털 신원인증나 정부24 어플로 전자증명서 발급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주민등록증을 완전히 대신한다고는 할 수 없어 어딘가 완성이 덜 된 느낌이랄까요?
공무원증이나 학생증은 모바일로 발급이 된다던데 주민등록증도 모바일로 얼른 발급되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요.
행정안전부에서는 작년 12월 27일부터 9개 시범발급 지자체(세종시, 대전 서구, 대구 군위, 울산 울주, 강원 홍천, 경기 고양, 경남 거창, 전남 여수, 전남 영양)에서 이미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시작했습니다.
▷▶ 현재 모바일 주민등록증 시범발급 지자체 ◀◁
세종시 / 대전 서구 / 대구 군위 / 울산 울주 / 강원 홍천 / 경기 고양 / 경남 거창 / 전남 여수 / 전남 영양
위의 9개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등록된 거주자는 2025년 2월 7일까지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오는 2월 14일부터는 다른 지역에서도 단계를 나누어 3월 14일까지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진행한다고 하는데요.
1~3단계로 나누어 하는데 그 기간은 2월 14일부터 3월 27일까지입니다.
2월 14일부터 발급을 시행하는 1단계 대상 지역은 대구, 대전, 울산, 강원,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입니다.
2월 28일부터 시행하는 2단계 확대 대상 지역은 인천, 경기와 충북, 충남 지역입니다.
마지막 3단계 지역은 3월 14일부터인데 인구 규모가 큰 거점 특광역시로 서울, 부산, 광주가 해당됩니다.

거주지(주민등록증 주소지) 관내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서 발급이 되며,
3월 28일부터는 거주지 상관없이 전국 어디서나 발급 가능합니다.
단,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에만 발급되니 본인 명의가 아니신 분은 해당 주민센터로 문의하신 후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은?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은 QR코드 촬영과 IC주민등록증 발급의 두 가지 방법으로 발급됩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방문을 해야합니다.
1. QR코드 촬영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모바일 주민등록증 신청서를 제출하고 QR코드를 촬영하여 발급합니다.
즉시 발급되고 수수료는 없지만 휴대폰을 바꾸면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를 다시 방문하여 재발급받아야 합니다.
2. IC주민등록증 발급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IC칩 내장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습니다. 발급 수수료는 5,000원입니다.
단, 만 17세 신규 주민등록증 발급시 IC기능을 추가하는 경우는 무료입니다.
분실 시는 어떻게?
만약 실물 주민등록증을 분실하여 분실신고 시 실물 주민등록증과 모바일 주민등록증 효력이 모두 정지됩니다.
휴대폰 분실로 모바일 주민등록증 분실신고 시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효력만 정지됩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주민번호 뒷자리를 가리고 필요한 정보만 제공할 수 있어 개인정보 유출 방지에도 유리합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발급되면 금융기관, 병원 등에서 실물 주민등록증과 똑같이 사용이 되어 편의성이 높아질 것 같네요.
지갑을 안 가지고 다니시는 분, 주민등록증을 잘 놓고 다니시는 분이라면 본인 주민등록 거주지 일정에 맞추어 얼른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 신청하세요.
'부자되는 이야기 > 정부지원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지역 추가 정리, 모르면 손해 (0) | 2025.01.25 |
---|---|
2025년 민생 회복 생활 안정지원금, 정확하고 깔끔하게 정리 (0) | 2025.01.19 |